본문 바로가기
마케팅 & Biz

하이브와 어도어 사태를 보면서 드는 생각...

by 프리 이글 2024. 4. 26.
반응형

 

하이브와 어도어, 방시혁과 민희진 간의 언론전과 갈등을 보면,

 

중국의 춘추전국 시대가 떠오른다.

 

중앙에 황제가 있고, 황제는 중원을 몇몇 제후 혹은 황에게 분할하여 맡긴다.  이런 관계는 오랫동안 중국의 정치 및 통치체계에서 볼 수 있다.

 

크고 힘이 있는 제후는 어느 순간 황제에게 위협이 된다. 스스로 왕이 되고자 한다. 혹은 위협 세력이라고 황제가 판단하고 미리 처단할 수도 있다. 이런 사례는 중국 역사에서 수도 없이 볼 수 있다. 대표적인 것인 한고조(유방)이 한신을 처단한 것이다. 토사구팽이라는 유명한 고사성어도 생겼다.

 

민희진의 어도어가 정말 방시혁의 하이브를 떠나려고 했는지는 아직 알 수 없다. 민희진의 주장이 맞을 수도 있고, 100% 허구일 수도 있다.

 

다만, 지금의 갈등 구도는 여러가지 역사가 알려주듯이 해피엔딩은 절대 아니라는 것이다. 하이브의 주가만 애처롭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