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스타트업 7

스타트업 용어 사전.. PLG와 SLG를 알아보자!

PLG와 SLG는 모두 스타트업에서 자주 언급되는 용어로, 제품과 고객 확보를 위한 전략을 말한다. PLG(Product-Led Growth)와 SLG(Sales-Led Growth)는 서로 다른 접근 방식을 갖고 있으며, 회사의 성장 방향과 중요한 요소를 강조하는데 차이가 있다. PLG (Product-Led Growth): PLG는 제품 중심의 성장 전략을 의미한다. 이전에는 전통적인 판매 및 마케팅 방식을 주로 사용해왔지만, 최근에는 제품 자체가 고객 획득과 보존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간주되기도 한다. 제품 경험: PLG는 제품 경험을 중요한 요소로 간주힌다. 제품을 사용하고 경험함으로써 고객이 가치를 실감하고, 그 가치에 기반하여 제품을 구매하고 확장할 동기를 갖게 된다. 셀프 서비스: P..

인공지능 & IT 2023.06.07

스타트업 관련 유명한 명언들 10가지

"성공한 기업가와 성공하지 못한 기업가를 구분하는 요소의 절반 정도는 순수한 인내심이라고 확신한다." - 스티브 잡스, Apple 공동 창립자 "최고의 스타트업은 대개 가려운 곳을 긁어주어야 하는 누군가로부터 시작됩니다." - 마이클 애링턴, 테크크런치 설립자 "스타트업은 극도의 불확실성 속에서 새로운 제품이나 서비스를 창출하기 위해 고안된 인간 기관(human institution)입니다." - Eric Ries, "린 스타트업" 저자 "가장 위험한 독은 성취감입니다. 해독제는 매일 저녁 내일 더 잘할 수 있는 것이 무엇인지 생각하는 것입니다." - 잉바르 캄프라드, IKEA 설립자 "제품의 첫 버전이 부끄럽지 않다면 너무 늦게 출시한 것입니다." - Reid Hoffman, LinkedIn 공동 창립..

인공지능 & IT 2023.05.12

스타트업 용어. 그로스해킹 (Growth Hacking)에 대해 알아보자.

스타트업 혹은 벤처기업들은 상대적으로 자금과 자원이 부족하고, 빠른 성장을 달성해야만 한다. 이러한 기업들이 최근 10여년 동안 주요한 전략으로 사용한 것이 바로 그로스해킹 (Growth Hacking)이다. 최근에는 디지털 마케팅의 대세라고 할 수도 있고, 몇몇 기업들은 마케팅 부서 안에 혹은 별도로 그로스해킹 팀을 만들기도 한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그로스해킹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자. 1. 그로스해킹이란 무엇인가? 그로스 해킹은 GrowthHackers.com의 창립자이자 CEO인 션 엘리스가 2010년에 만든 용어이다. 다양한 마케팅 채널과 제품 개발 전반에 걸친 신속한 실험을 통해 가장 효율적이고 효과적인 비즈니스 성장 방법을 찾아내는 마케팅 전략이라고 할 수 있다. 기존의 마케팅 방법과 달리 그로..

마케팅 & Biz 2023.04.19

독서 후기. 세상 모든 창업가가 묻고 싶은 질문들... 100% 추천

스타트업에 관심이 있거나, IT 회사를 창업할 생각이 있는 사람에게는 무조건 추천하는 책이다. 책의 내용이 결코 쉽지도 않고, 책이 가볍지도 않다. 아무 생각 없이 읽을 수 있는 책은 아니다. 하나하나 고민하면서 읽어야 하는 진지한 책이다. 하지만, 책 구석구석 배우고 익힐 내용이 많다. 아주 유익하다. 어떻게 성공하는 지에 대한 획일적 지식이 아니라, 어떻게 하면 실패할 지는 알려주고 실패를 막을 수 있는 책! 이 책은 우리가 흔히 보는 성공에 대한 책이 아니다. 오히려 스타트업들이 어떻게 실패하게 되었는 지를 연구하고 분석하고 정리한 책이다. 우리들이 절대로 보고 싶지 않고 생각도 하기 싫은 내용을 집유하게 파고들어 실패의 원인과 이를 극복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한다. 이 책의 원제목 역시 Why S..

Book & 문학 2023.04.13

스타트업 창업가들의 특징을 알아보자. 특히 부정적인 측면 중심으로.

'세상 모든 창업가가 묻고 싶은 질문'이라는 책에 나온 내용이다. 세상 모든 창업가가 묻고 싶은 질문들 창업 아이디어나 기회는 준비된 자에게만 찾아온다. 하지만 불행히도 모든 면에서 준비된 창업가는 없다. 스타트업의 성공은 수없이 많은 선택과 결정의 집합체다. 최종 결정권자인 창업가가 다른 누구보다도 멀리 보고 넓게 알아야 할 이유다. 이 책은 조직관리, 인사관리, 위기관리, 투자전략 그리고 경영철학에 이르기까지 스타트업 창업가라면 알아야 할 거의 모든 영역을 다루고 있다. 또한 하버드 MBA 출신 창업가들이 설립한 스타트업이 어떻게 성장했고 왜 실패했는지를 구체적인 사례를 통해 소개한다. 하버드 경영대학원(HBS)에서 지난 24년간 스타트업을 비롯한 130여 개의 기업 사례를 연구하고, 특히 창업 성공..

마케팅 & Biz 2023.04.12

스타트업 키워드: 엔젤 투자자 vs 벤처캐피탈 (VC)

스타트업 혹은 창업을 준비하는 사람들이 종종 듣는 용어가 있다. 바로 엔젤 투자자와 벤처캐피탈이다. 얼핏 들으면 쉽게 구분이 될 수 있지만, 막상 자세히 생각해 보면 애매한 부분도 있다. 스타트업의 구원자, 엔젤 투자자와 벤처캐티탈의 차이점을 알아보자. 엔젤 투자자와 벤처 캐피탈은 모두 자금이 부족한 스타트업 혹은 창업자들에게 초기 자본을 지원하는 역할을 한다. 초기 자금 뿐만 아니라 멘토링 혹은 네트워킹도 지원한다. 서로 유사해 보이기 때문에 사람들이 혼용하기도 하지만, 분명히 다른 개념이다. 이들의 차이점을 알아보자. 투자 규모: 엔젤 투자자는 일반적으로 25,000달러에서 100,000달러 범위의 적은 금액을 투자하는 반면, 벤처 캐피털리스트는 일반적으로 100만 달러 이상의 큰 금액을 투자한다. ..

마케팅 & Biz 2023.04.09

스타트업의 생존 공식, LTV와 CAC를 알아보자.

스타트업은 항상 돈이 없다. 투자를 받아도 공격적 마케팅 혹은 제품개발과 R&D를 하기 위해 돈을 물쓰듯 쓰게 된다. 성공적으로 제품과 서비스를 개발해도 문제다. 고객 한명, 제품 하나를 판매하기 위해 많은 돈이 들어간다. 그렇기 때문에 스타트업은 항상 돈이 들어오고 나가는 것에 민감해야 한다. 하지만 대부분의 스타트업들은 창업가정신과 장인정신에 기반해서 제품과 서비스를 만들다 보면 돈에 상대적으로 신경을 덜 쓰는 경향이 있다. 입출금되는 돈의 흐름을 놓치는 것도 위험하지만, 자신의 매출이 얼마나 많은 돈을 벌어줄 것인지 그리고 얼마나 많은 비용 투자가 되어야 하는 지를 명확하게 알아야 한다. 결국 스타트업 역시 돈을 벌어야 하는데, 매출과 비용에 대한 명확한 관계를 알고 있어야 한다. 이를 가능하게 해..

마케팅 & Biz 2023.04.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