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마케팅 & Biz

스타트업 키워드: 엔젤 투자자 vs 벤처캐피탈 (VC)

by 프리 이글 2023. 4. 9.
반응형

스타트업 혹은 창업을 준비하는 사람들이 종종 듣는 용어가 있다. 바로 엔젤 투자자와 벤처캐피탈이다. 얼핏 들으면 쉽게 구분이 될 수 있지만, 막상 자세히 생각해 보면 애매한 부분도 있다.

 

스타트업의 구원자, 엔젤 투자자와 벤처캐티탈의 차이점을 알아보자.

 

엔젤 투자자와 벤처 캐피탈은 모두 자금이 부족한 스타트업 혹은 창업자들에게 초기 자본을 지원하는 역할을 한다. 초기 자금 뿐만 아니라 멘토링 혹은 네트워킹도 지원한다. 서로 유사해 보이기 때문에 사람들이 혼용하기도 하지만, 분명히 다른 개념이다. 이들의 차이점을 알아보자.

 

투자 규모: 

엔젤 투자자는 일반적으로 25,000달러에서 100,000달러 범위의 적은 금액을 투자하는 반면, 벤처 캐피털리스트는 일반적으로 100만 달러 이상의 큰 금액을 투자한다. 다만, 금액은 사업아이템, 시장 환경, 투자자 성향 등에 따라 달라진다. 따라서 엔젤 투자자와 VC 간의 투자 규모의 차이점으로 생각하는 것이 좋다.

투자 단계:

엔젤 투자자는 초기 단계의 스타트업에 투자하는 경우가 많은 반면, 벤처 캐피털리스트는 이미 어느 정도 성공 또는 성장 가능성이 입증된 기업에 투자하는 경우가 많다.

통제 및 참여:

엔젤 투자자는 스타트업 창업자에게 지도와 멘토링을 제공하는 등 보다 실질적인 투자 방식을 취하는 반면, 벤처 캐피탈리스트는 자금과 자원을 제공하지만 회사의 일상적인 운영에는 관여하지 않는 등 보다 손쉬운 접근 방식을 취할 수 있다.

위험 감수 성향:

엔젤 투자자는 자신의 개인 자금을 투자하기 때문에 벤처 캐피털리스트보다 더 높은 위험을 감수할 의향이 있는 반면, 벤처 캐피털리스트는 연기금이나 기부금과 같은 기관 투자자의 자금을 투자하기 때문에 더 위험을 회피할 필요가 있다.

엑시트 전략 (Exit Strategy):

엔젤 투자자는 회사의 인수 또는 기업공개(IPO)를 통해 투자 수익을 기대하는 경우가 많지만, 벤처 캐피탈리스트는 합병이나 2차 공모와 같은 다른 출구 전략도 고려할 수 있다.

 

좀더 직관적으로 말하면, 엔젤 투자자는 개인 혹은 소수의 투자자들이 자신의 돈으로 투자하고, VC는 다른 투자자들의 돈을 가지고 조직적으로 투자한다. 따라서 투자액 규모 및 자금 출처, 개인과 조직 등의 차이점 때문에 스타트업과 투자금액을 관리하는 관점 역시 차이가 난다.


전반적으로 엔젤 투자자와 벤처 캐피탈리스트 모두 스타트업 기업에 자금을 제공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투자 규모, 단계, 참여도, 위험 성향, 출구 전략의 차이로 인해 특정 스타트업의 필요와 목표에 따라 둘 중 하나가 더 적합할 것이다. 즉, 스타트업과 창업가의 필요성과 단계에 따라 선별해야 한다. 물론 돈이 없는 스타트업 입장에서는 어느 쪽이든 절박하게 필요하기는 하다.

기회가 될 때, 엔젤 투자자와 VC에 대해 좀더 자세히 알아보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