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마케팅 박사 과정/박사 과정 진학하다..

늦은 나이, 마케팅 박사 과정 진학한 이유

by 프리 이글 2025. 2. 3.
반응형

🎯 마케팅 박사 과정, 왜 선택했을까?

마케팅 분야에서 실무 경험을 쌓으며 다양한 프로젝트를 진행하다 보니, 보다 체계적인 이론과 깊이 있는 연구의 필요성을 느끼게 되었다. 특히, 디지털 마케팅, 소비자 행동 분석, 인공지능 기반 마케팅 전략 등 빠르게 변화하는 시장 환경에서 경쟁력을 갖추려면 박사 과정을 통한 학문적 접근이 필수적이라 생각했다. 실무에서 대부분 커버 가능한 부분들이지만, 막상 집에 와서 생각해 보면 좀더 깊이 있는, 소위 말하는 심층적인 내용들이 있을 거라는 생각이 들었다. 

 

대학 캠퍼스에서 공부하는 마케팅 박사 과정
대학 캠퍼스에서 공부하는 박사 과정 학생

 

📌 1. 실무 경험만으로 한계를 느낀 순간

10년 넘게 이커머스, 브랜드 마케팅, 콘텐츠 마케팅 등의 분야에서 활동하며 실전에서 다양한 전략을 활용해왔다. 하지만 새로운 마케팅 기법이 등장하고 AI, 데이터 분석이 중요해지면서 깊이 있는 연구와 논리적 사고가 필요하다는 것을 깨닫게 되었다.

특히, 아래와 같은 부분에서 고민이 있었다:

  • 데이터 기반 마케팅 의사결정이 점점 중요해지지만, 체계적인 연구 경험이 부족함.
  • AI 및 머신러닝이 마케팅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학문적 연구 부족.
  • 최신 마케팅 트렌드를 실무에서 빠르게 적용하기 어려움.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마케팅 박사 과정이 필수적이라고 판단했다. 물론 대학원에서 실무에서 쓰이는 발빠른 트렌드를 배울 수 있을 거라고 생각하지는 않는다. 하지만, 가장 핵심적인 방법론과 생각하는 법을 배울 수 있을 거라고 판단했다.    

 

📌 2. 마케팅 박사 과정에서 기대하는 점

박사 과정에서는 단순한 마케팅 기법이 아니라 소비자 행동, 데이터 분석, 심리학적 접근 등 보다 근본적인 마케팅 원리를 연구한다. 기본적인 내용들은 이미 석사 과정과 실무에서 많이 배웠지만, 좀더 깊이 있는 내용들을 배우고 싶다. 

   

소비자 행동 연구: 구매 결정 과정과 감정적 요인이 마케팅에 미치는 영향.

디지털 마케팅과 AI: 빅데이터와 인공지능을 활용한 개인화 마케팅 전략.

브랜드 전략 최적화: 장기적인 브랜드 가치를 구축하는 방법.

논문 작성 및 연구 역량 강화: 체계적인 연구 방법론과 논문 출판 경험.

 

이런 학문적 배경이 실무에서 전략을 수립하고 실행하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 3. 실무 마케팅과 박사 과정의 연결

많은 사람들이 "마케팅 박사 과정이 실무에 정말 도움이 되나요?"라고 질문한다. 실제로 나 역시 이런 질문에서 완벽하게 자유로울 수는 없다. 박사 과정의 한계와 교수님들의 한계를 누구보다 알기 때문이다. 하지만, 박사 과정과 박사 학위는 다양한 범위로 나아갈 자유를 제공할 수 있다. 

 

💡 실무에서 박사 과정이 유용한 이유:

  • 데이터 분석 및 인사이트 도출 능력 강화
  • 트렌드 예측 및 전략적 사고 능력 향상
  • 논리적 사고와 문제 해결 능력 배양
  • 최신 연구 결과를 실무에 적용 가능

이러한 지식과 연구 결과는 언제든 실무 및 마케팅 컨설팅에서 필요하다. 그리고 더 많이 안다는 것은 항상 더 많은 기회를 제공한다. 박사 과정 역시 새로운 기회의 문을 열어주는 열쇠이다. 물론 열쇠는 열쇠이고, 문을 직접 열어제끼는 것은 나 자신이다.   

 

 

이런 이유로 오랫동안 고민을 해왔던 박사 과정에 도전을 하게 되었다. 물론 이외에도 다양한 고민들이 있었다. 이런 고민들은 블로그에서 하나하나 풀어가도록 하겠다.